joodiary ・‎ᴗ・

반갑습니다

joodiary

공부_철학/철학 10

지혜로운 삶

1. 고대 철학: 지혜는 ‘올바른 삶의 기술’이다그리스어의 지혜(phronēsis)는 오늘날의 '지식(intelligence)'과는 달라요. → Phronēsis는 도덕적 판단력, 삶의 실천적 분별력을 의미합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를 "실천적 이성(practical reason)"이라 불렀고, '언제, 어떻게, 어느 정도로 행동해야 하는가'를 아는 능력이라고 봤어요. → 이는 단순한 지식이 아닌, 경험·성찰·도덕감각이 융합된 고차원적 사고입니다.2. 현대 철학자들의 해석: 지혜는 '인지적 통합력'이다▸ 미국 철학자 로버트 노직 (Robert Nozick)지혜를 “삶의 다양한 요소를 유기적으로 통합해 의미를 구성하는 능력”이라 정의.→ 내 삶에 있는 여러 가지 일(경험, 지식, 감정 등)을 잘 연결해서..

에피쿠로스 - 쾌락주의, 아타락시아

"행복이란 쾌락에 끌려다니지 않고, 오히려 진정한 쾌락으로 삶을 끌고 갈 때 생긴다."→ 단순히 즉각적이고 감각적인 즐거움(예: 폭식, 과음, 무절제한 소비)에 끌려 다니는 것은 오히려 고통을 낳습니다. → 반대로, 지혜롭게 선택된 쾌락,예컨대 건강, 평온, 우정, 지적 만족 같은 지속가능하고 고귀한 즐거움을 기준으로삶을 이끌어갈 때 진짜 행복에 도달할 수 있다는 뜻이에요. 철학적 배경: 에피쿠로스의 쾌락주의에피쿠로스는 "삶의 목적은 쾌락이다"라고 했지만, 무작정 즐기는 것이 아니라, **고통을 피하고 마음의 평온(아타락시아, ataraxia)**을 얻는 쾌락을 말했어요. 진정한 쾌락은 절제, 이성, 우정, 자족 속에서 옵니다. “우리는 많은 것을 가질 때 행복한 것이 아니라, 필요한 것만으로 만족할 때..

양자역학과 불교 철학

네가 말한 내용은 굉장히 통찰력 있어. 양자역학과 불교의 철학이 일부 놀라운 유사성을 갖는다는 건 꽤 오래전부터 여러 철학자와 과학자들도 주목해왔던 부분이야. 너의 설명을 바탕으로 정리해볼게:1. “모든 것은 본질적 실체가 없다” → 불교의 ‘공(空)’ 사상 & 양자역학의 비입자성• 불교에서 **공(空)**은 “본질적으로 고정된 자아나 실체는 없다”는 사상. 사물은 ‘있는 듯하지만’ 사실은 관계성 속에서만 존재한다는 거지.• 양자역학도 마찬가지로, 우리가 ‘입자’라고 생각하는 전자조차도 어떤 확률적인 파동함수로 존재하며, 고정된 실체가 아니야.• 즉, **“있는 그대로 고정된 물질은 없다”**는 점에서 비슷해.2. “모든 것은 관계 속에 있다” → 불교의 연기(緣起)와 양자 얽힘• 불교의 연기법은 모든 ..

1. 사전적 의미“덕”은 보통 이렇게 정리돼요:도덕적·윤리적 이상을 실현해 나가는 인격적 능력→ 착한 마음, 올바른 삶을 실천할 수 있는 능력공정하고 남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마음이나 행동→ 너그럽고 따뜻한 태도, 이해심베풀어 준 은혜나 도움→ 예: “그건 다 네 덕이야.” “은혜를 갚다.”2. 철학적 의미 (특히 동양철학에서)동양 철학에서는 “덕”이 아주 중요해요.공자, 맹자, 노자, 순자 등 유교·도교 철학자들이 많이 강조했죠.📍공자에게 “덕”은?사람이 갖춰야 할 인격의 중심이에요.예절(禮), 의리(義), 지혜(智), 신뢰(信) 같은 덕목을 실천함으로써‘군자(君子)’, 즉 도덕적으로 완성된 사람이 되는 걸 추구했어요.핵심 덕목은 “인(仁)”, 즉 타인을 향한 따뜻한 마음, 사랑입니다.📍노자에게 “..

카르마

카르마: [불교] 전세(前世)에 지은 소행 때문에 현세에서 받는 응보(應報).(응보: 선악의 행위에 응하여서 그 갚음이 나타나는 고락(苦樂)의 결과.)네가 정리한 내용이 불교의 인과법과 카르마 개념을 명확하게 정리하고 있어서 좋아! 조금 더 쉽게 읽히도록 정리해볼게.운명은 정해져 있을까? – 불교의 관점📌 대표적인 운명론 3가지1. 서양 – 신이 태어날 때 운명을 정했다. → 신께 기도하고 간절히 빌면 운명이 바뀔 수 있다고 믿음.2. 동양 – 사주팔자(생년월일시)로 운명이 정해진다. → 점을 보고, 미리 대비하려 함.3. 인도 – 전생에 지은 죄(업)에 의해 이번 생이 결정된다. → 전생을 알면 현생을 이해할 수 있다고 믿음.💡 하지만 부처님은 이 세 가지를 모두 부정했다!• 죄를 지으면 반드시 벌..

아리스토텔레스 - 탁월함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탁월함(Ἀρετή, 아레테)은 단순한 능력이나 재능이 아니라, ㄴ탁월함: 남보다 두드러지게 뛰어나다.습관을 통해 형성되는 윤리적 덕목이야. 1️⃣ 탁월함은 습관에서 나온다아리스토텔레스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이렇게 말했어:“우리는 반복적으로 행하는 것의 결과다. 따라서 탁월함은 행위가 아니라 습관이다.”즉, 탁월함이란 한순간의 행동이 아니라, 반복적인 실천을 통해 형성되는 성품이라는 거야. 한두 번 착한 행동을 한다고 착한 사람이 되는 게 아니라, 계속해서 선한 행동을 해야 선한 성품을 가지게 되는 것과 같아. 2️⃣ 중용(中庸, The Golden Mean)의 실천아리스토텔레스는 **"탁월함은 극단을 피하고 적절한 중간 지점을 찾는 것"**이라고 했어. 이를 **중용(μεσ..

불교의 무아(無我) 사상

불교의 무아(無我) 사상은 “나”라는 것이 독립적으로 항상 존재하는 실체가 아니다라는 의미야.1. “내가 없다”는 말이 의미하는 것불교에서 “내가 없다”(무아)고 할 때, 이 말은 **“나라는 존재 자체가 아예 없다”**는 뜻이 아니야.대신 **“변하지 않는 고정된 ‘나’는 없다”**는 뜻이야. • 우리 일반적인 생각: “나는 변하지 않는 하나의 존재다.” • 불교의 가르침: “나는 끊임없이 변하고,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실체가 아니다.”즉, 나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하나의 실체가 아니라, 여러 요소(조건)들이 모여서 만들어진 것이다.2. 무아를 쉽게 이해하는 예시✔ 장미꽃과 무아 • 장미는 혼자서 존재할 수 없어. • 물, 햇빛, 공기, 흙, 비료 등 수많은 조건이 모여야 장미가 존재할 수 있어. • 만..

동양 철학자

장자, 공자 같은 철학자들은 동양 철학에서 중요한 사상가들이야. 간단하게 정리해줄게! 🌿 유가(儒家) 철학 – 공자, 맹자 ✔ 유가(儒家, 유교)의 핵심: "인(仁), 예(禮), 도덕, 인간관계"   ㄴ공자: '논어' 책 구매 🔹 공자(孔子, BC 551~479) 유교(儒敎)의 창시자 『논어(論語)』: 제자들과 나눈 대화를 기록한 책 핵심 사상: 인(仁, 인간다움), 예(禮, 사회적 규범), 군자(君子, 이상적인 인간상) 한 마디로? "도덕과 예의를 지키는 것이 바람직한 사회를 만든다!" 🔹 맹자(孟子, BC 372~289) 공자의 사상을 발전시킨 철학자 성선설(性善說) 주장 → "인간은 본래 착하게 태어난다!" 정치 철학: 왕은 백성을 위한 정치(민본주의)를 해야 한다 한 마디로? "사람은 원래 ..

플라톤 - 이데아

-플라톤의 이데아란,우리가 감각으로 보는 현실 세계는 불완전한 그림자에 불과하고,모든 사물과 개념의 본질적이고 완벽한 형태는 '이데아'라는 별도의 이상적인 세계에 존재한다는 사상.(본질: 본디부터 가지고 있는 사물 자체의 성질이나 모습.) -이데아론: 불완전한 현실 너머에 영원하고 불변하는 진리의 세계가 존재한다 -이데아(idea) 철학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이 제시한 개념으로, 현실 세계 너머에 존재하는완전하고 불변하는 본질적인 ‘이상’을 뜻합니다. 플라톤은 우리 눈에 보이는 현실 세계가 불완전하며 변하기 쉽다고 보고,이 세계는 진정한 실재가 아닌 그림자에 불과하다고 주장했습니다.플라톤의 이데아론에 따르면, 현실에서 우리가 보는 사물들은 그 자체가 진정한 실재가 아니라 이데아 세계에 있는 본질적..

이상주의자

이상주의자 이상주의자는 현실보다는 이상이나 이념(사람이나 사회가 바라는 ‘이상적인 생각이나 가치‘)을 중시하며, 자신이 믿는 가치와 원칙에 따라 행동하려는 사람을 말합니다. 이상주의자는 종종 현재 상황이나 현실의 제약을 뛰어넘어 더 나은 세계, 더 높은 목표를 추구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상주의자의 특징 1. 가치와 원칙 중심 * 현실적 타협보다는 정의, 진리, 평등 등 자신이 믿는 이상적인 가치를 우선합니다. * 예: “모든 사람이 평등한 세상을 만들어야 한다.“라는 생각에 따라 행동. 2. 낙관적인 사고 * 세상은 더 나아질 수 있다고 믿고, 이를 위해 행동하려는 의지를 가집니다. * “변화는 가능하다.“라는 희망적 관점을 유지. 3. 현실과 충돌 가능성 * 현실이 자신의 이상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