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odiary ・‎ᴗ・

반갑습니다

joodiary

공부_철학/철학

아리스토텔레스 - 탁월함

joodiary 2025. 3. 10. 11:49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탁월함(Ἀρετή, 아레테)은 단순한 능력이나 재능이 아니라,
 ㄴ탁월함: 남보다 두드러지게 뛰어나다.
습관을 통해 형성되는 윤리적 덕목이야.

 

1️⃣ 탁월함은 습관에서 나온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이렇게 말했어:

“우리는 반복적으로 행하는 것의 결과다. 따라서 탁월함은 행위가 아니라 습관이다.”

즉, 탁월함이란 한순간의 행동이 아니라, 반복적인 실천을 통해 형성되는 성품이라는 거야. 한두 번 착한 행동을 한다고 착한 사람이 되는 게 아니라, 계속해서 선한 행동을 해야 선한 성품을 가지게 되는 것과 같아.

 

2️⃣ 중용(中庸, The Golden Mean)의 실천

아리스토텔레스는 **"탁월함은 극단을 피하고 적절한 중간 지점을 찾는 것"**이라고 했어. 이를 **중용(μεσότης, 메소테스)**이라고 부르는데, 예를 들어볼게.

✔ 용기(Courage)의 덕목

  • 부족 → 겁쟁이 (겁이 너무 많음)
  • 과함 → 만용 (무모하게 돌진함)
  • 중용 → 용기 (올바른 판단으로 두려움을 극복함)

✔ 관대함(Generosity)의 덕목

  • 부족 → 인색함 (너무 아낌)
  • 과함 → 낭비벽 (너무 씀씀이가 큼)
  • 중용 → 관대함 (상황에 맞게 베품)

즉,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탁월함이란 한 가지 덕목이 극단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형을 이루는 것이야.

 

3️⃣ 실천을 통해 완성되는 최고의 삶

아리스토텔레스가 궁극적으로 추구한 것은 "유데모니아(εὐδαιμονία, Eudaimonia)", 즉 인간이 최고의 행복을 누리는 삶이야. 그리고 그 행복은 지속적인 실천을 통해 덕을 기르고, 탁월한 상태에 도달할 때 얻어진다고 봤어.

✔ 단순한 쾌락(즐거움) → ❌
✔ 돈이나 명예 같은 외부적 성공 → ❌
✔ 지속적으로 덕을 실천하며, 자기 자신을 계발하는 삶 → ✅

결국,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탁월함(아레테)**은 습관적으로 덕을 실천하며 중용을 지키는 삶의 태도야. 그리고 이 과정이 인간을 최고의 행복으로 이끈다고 본 거지.

 

📌 한 줄 정리!

🔹 탁월함 = 좋은 습관의 반복
🔹 탁월함 = 중용을 실천하는 것
🔹 탁월함 = 최고의 행복(유데모니아)으로 가는 길

-

 

 

 

 

 

'공부_철학 >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25.04.14
카르마  (0) 2025.03.30
불교의 무아(無我) 사상  (0) 2025.03.09
동양 철학자  (0) 2025.03.08
플라톤 - 이데아  (0) 2025.03.08